대한민국 여성 근로자의 사회적 위치

한국 여성의 삶과 지위

최근 여성의 지위에 관한 갑을박론이 뜨겁습니다. 특히, 정부가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라고 주장하면서 갈등이 커졌습니다. 그러나 뒤에서 알아보겠지만 여성 차별은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여전히 사회 곳곳에 뿌리박혀 흔적들이 남아 있습니다. 물론 여성들의 삶은 수십 년간 상당한 변화가 있었지만 오늘날 여성의 삶과 사회적 자리는 어떤 모습일까요? 그리고 그 정치적 함의는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한국 여성 삶의 변화와 모순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논란의 화두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밤알바

여성 삶의 변화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날 여성은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 많이 집 밖에서 자신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여성단체협회와 통계청이 임금노동자 수를 파악하기 시작한 1963년 당시 여성 임금노동자 수는 약 57만 명으로, 전체 근로 인력의 24퍼센트에 불과하였습니다. 그러나 약 60년이 지난 현재 여성 근로자 수는 931만 명으로, 무려 16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1992년을 기준으로 하면, 30년 만에 여성근로 인력 수는 2배 넘게 증가한 것입니다.

한국 여성의 근로 환경 변화

전체 근로자 중 여성의 비중은 44.8퍼센트로, 전체 근로자의 절반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제 불황은 여성 고용에 악영향을 주긴 했으나, 여성 취업과 여자알바의 늘어나는 추세 자체를 꺾지는 못했습니다. ‘경제 위기 때 여성이 제일 빠르게 노동시장에서 퇴출된다’고 주장하는 입장도 많지만, 현실은 그렇게 획일적이지 않음을 보여 주고있습니다. 내 어머니 시대에는 여성이 결혼하고 출산하면 일터를 그만두고 전업주부가 되는 일이 흔했지만, 이제 더이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여성 의사의 점유율도 1980년 13.6퍼센트에서 2019년 26.1퍼센트로 두 배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여성의 교육 기간과 진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지난 수십 년간 가족의 모습도 크게 달라졌습니다. 취업률 경우도 남성과 여성의 합격률이 상당량 줄어들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점점 더 적게, 더 늦게 결혼하고 있는 모습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초혼 건수는 30년 전의 절반 미만으로 저하되었습니다. 1970년에 미혼 여성은 평균 23살에 결혼했지만, 이제 그 연령은 30살로 상향 평준화 되었습니다.

성에 대한 태도도 꽤 개방적이 되었습니다. 이제 여성에게 성관계는 ‘견뎌야 하는 것’에서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오늘날 젊은 여성들은 이전 세대보다 낙태권 요구나 ‘내 몸은 나의 것’이라는 구호에 더 적극적입니다. 대중적인 사회 변화와 인권 운동 덕분에 남성에게 유리한 법들도 상당량 사라졌습니다. 가령, 재산 상속 문제에서 아들과 딸을 차별했던 상속 제도가 1990년대 초에 사라져, 모든 자녀가 같은 비율로 증여받게 되었습니다. 이혼 시 재산 나눔에서 여성 배우자의 기여도가 전보다 더 많이 인정받는 상황입니다.

오늘날 여성의 지위 변화

이와 같은 변화들은 분명 여성에게 진보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렇다면 여성 차별은 과거지사가 되었을까요?? 이런 주장은 주로 옳지 않은 무리의 인식에서 퍼뜨리지만, 평범한 청년층 남성의 한 부분도 아직은 이렇게 여기는 듯합니다. 자신들은 여성 차별을 그닥 경험하지 않고 자랐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20대 여성 고용 시장의 성별 격차는 다른 세대보다 많지 않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법적 차별도 대부분 사라지고 있으며 여성에 대한 배려도 예전에 비해 상당량 많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